4. Industrial Turbine
Mekanism
이 문서는 마인크래프트 1.12.2, Mekanism 1.12.2-9.4.13.349, MekanismGenerators 1.12.2-9.4.13.349 환경에서 쓰여졌습니다.
조합법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니 인게임에서 확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발전량은 변경될 수 있으니 인게임 Config를 참조하십시오.
4. Industrial Turbine
저번 편에는 단일 블럭 발전기들을 소개했었죠. 이번엔 멀티블록 발전기입니다.
바로, Industrial Turbine 입니다!
효율이 좋은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빙글빙글 돌아가는게 예쁩니다.
그럼 한번 만들어볼까요?
필요한 재료를 알아보면서 하나씩 해봅시다.
※주의사항※
이 글과 맨 밑의 조건까지 다 읽고 만드시는것을 추천합니다.
Turbine Casing
터빈의 골조는 이 블럭으로만 만들 수 있습니다.
바로 이렇게요.
저 골조 부분에는 Turbine Casing 이외의 다른 블럭이 배치되어서는 안됩니다.
Structural Glass
메카니즘 멀티블록 내부를 보고 싶을 수도 있죠. 특히나 터빈같이 돌아가는 기믹이 있는 멀티블록이면 더더욱이요.
융합로를 제외한 모든 메카니즘 멀티블록 기계는 Structural Glass 를 벽면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측면과 아래 위 모두 설치 가능합니다. 내부와 골조에만 설치 안하면 됩니다.
당연하게도, Turbine Casing을 Structural Glass를 대신해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뽀대는 줄어들겠지만요
Turbine Rotor
터빈의 회전축을 담당합니다. 바닥에서부터 Rotational Complex까지 이어져야 합니다.
이런식으로 설치해주시면 됩니다.
Turbine Blade
그냥 설치할 수는 없고, Turbine Rotor에 우클릭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Turbine Rotor 1개당 2개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면 이렇게 됩니다.
당연하게도, Turbine Blade가 벽면에 닿으면 돌아가지 않겠죠?
높이 조절을 적절히 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Rotational Complex
Turbine Rotor 위에 설치하면 됩니다.
이 블럭이 설치된 순간, 다음부터 소개할 블럭들의 설치 위치가 정해집니다.
이 블럭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이죠.
Pressure Disperser
설정상 여기로 증기가 빠져나가는 것 같습니다.
Rotational Complex 주위를 빙 둘러주면 됩니다.
Electromagnetic Coil
터빈에 꼭 필요한 발전용 전자석이죠.
Rotational Complex 바로 위층에 깔아주시면 됩니다.
2겹으로 쌓는다고 크게 달라지는건 없습니다만, 무조건 Rotational Complex와 직접 접촉하게 배치되어야 합니다.
만약 이런식으로 배치하면, 가운데 코일 한개만 발전에 쓰이고 나머지는 놀게 되니 주의하세요.
효율떨어지는데 누가 다 안채우겠냐만은.. 가난할수도있지
Saturating Condenser
발전에 쓰인 증기를 응축해서 다시 물로 만들어줍니다.
필수가 아니므로 없어도 됩니다.
Electromagnetic Coil 바로 위층에 깔아주시면 됩니다.
설명만 읽어보면 Rotational Complex 바로 위층에 깔아도 되는 것 같긴 하지만, 그러면 발전을 못하니까..
Turbine Vent
터빈에서 처리할 수 있는 증기 유입/배출량을 결정합니다.
많으면 좋으니까 남는 벽면에 도배하시면 되겠습니다.
Rotational Complex와 같은 층, 혹은 그 위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대충 이런식으로요.
Turbine Rotor가 있는 층에는 설치되면 안됩니다.
시야를 방해하니까증기가 바로 새어나가면 안되니까 그런 것 같습니다.
이렇게 하시면 여기서 터빈이 완성됩니다!
...가 아니라
Turbine Valve
뭔가 빠진 것 같지 않나요?
증기는 어디로 넣죠? 전기는 어디로 뺄 수 있나요?
Turbine Valve를 설치하는것을 잊은 모양이군요! 빨리 설치해줍시다.
Turbine Vent 몇개 떼고 옆에다가 박아줍시다.
얜 특별한 제한조건은 없어서 벽면 어디에 놔도 됩니다. 위에 놔도 되고 아래에 놔도 되고..
미관을 해치겠지만Turbine Rotor와 같은 층에 설치되어도 됩니다.
여기까지 따라오셨다면.. 축하드립니다! 여러분의 터빈은 이제 가동될 수 있습니다!
그럼 어서 증기를 주고 전기를 얻어볼까요?
Valve를 통해 증기를 주입하고 전기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만약 여러분이 Saturating Condenser를 터빈 내부에 집어넣었다면 Turbine Vent와 연결하여 물도 빼낼 수 있습니다.
그럼 터빈의 GUI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건 기존에 완성된 다른 터빈임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1. 터빈의 스펙을 보여주는 GUI를 엽니다.
2. 현재 터빈에 저장된 증기 양을 보여줍니다. 많이 차면 실제로 터빈 내부가 뿌옇게 변합니다.
3. 현재 유입되는 증기의 양을 보여줍니다.
4. 터빈에 저장된 에너지의 양을 보여줍니다.
5. 증기가 꽉 찼을 때 어떻게 할지 설정합니다. 안받음 / 90% 저장하고 나머진 버림 / 모든 증기를 버림
※모든 증기를 버리게 설정하면 내부 인벤토리까지 전부 비우고 받는 족족 버리니 주의※
터빈의 스펙을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1. 터빈 기본 GUI로 돌아갑니다.
2. 터빈에 쓰인 부속품의 양을 알려줍니다. Limiting은 Steam Flow와 Production에서 어떤 부품이 최대 출력량을 결정하고 있는지(부족한지) 표시하는 것입니다.
3. 이론상 최대 생산량입니다. 사실상 여러분들은 이게 제일 중요하겠죠.
4. Saturating Condenser가 존재할때 물을 얼마나 반환할 수 있는지 알려줍니다.
Limiting에 너무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어떻게 만들던 저건 떠있을테니까요.
[ 터빈 만들 때의 조건 ]
1. 수직으로만 만들 수 있습니다. Turbine Rotor가 수평으로 설치가 안 되기 때문이죠.
2. Rotational Complex는 Turbine Rotor 위에 배치되어야 합니다. 아래에 배치하면 안됩니다.
3. 수직으로 너무 길쭉하게 만들면 Turbine Blade가 벽면에 닿게 되는데, 그러면 터빈이 완성되지 않습니다.
주의사항까지 보셨다면 이제 터빈을 만드실 차례입니다!
융합로 전까지 가장 강력한 발전기입니다.
크게만들면 융합로보다 발전량이 많긴 한데
4편은 여기에서 마치겠습니다.
오타 및 틀린 내용 지적은 언제나 감사히 받겠습니다.
'마인크래프트 모드 공략 > Mekan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멀티블록 탱크!! (7) | 2019.01.26 |
---|---|
5. Thermoelectric Boiler (0) | 2019.01.25 |
3. 단일 블럭 발전기 (4) | 2019.01.23 |
2. 메카니즘 GUI의 사이드 탭 (0) | 2019.01.23 |
1. 메카니즘의 기본 기계들 (4) | 2019.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