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파이프라인
Mekanism
이 문서는 마인크래프트 1.12.2, Mekanism 1.12.2-9.4.13.349, MekanismGenerators 1.12.2-9.4.13.349 환경에서 쓰여졌습니다.
조합법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니 인게임에서 확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발전량은 변경될 수 있으니 인게임 Config를 참조하십시오.
8. 파이프라인
빌크, 써멀, 엔더IO, 레드파워 등의 기계모드에 빠질 수 없는 요소가 있습니다.
바로 전선과 파이프입니다!
산업아
메카니즘도 파이프를 추가하지 않을 수 없겠죠?
무려 4종 + a 의 파이프가 있습니다.
Universal Cable
메카니즘의 전선입니다.
초반에 소개해드렸다시피, 메카니즘은 J, RF, EU, T 4종의 전력을 지원합니다.
그래서 Universal Cable에는 기본적으로 전력 변환 기능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Mechanical Pipe
메카니즘의 액체 파이프입니다.
특별한 기능은 없습니다..
Pressurized Tube
메카니즘의 가스를 운반하는 파이프입니다.
액체 파이프로는 가스를 운반하실 수 없어서 꼭 이걸 쓰셔야 합니다.
Thermodynamic Conductor
메카니즘의 열을 운반하는 파이프입니다.
HU를 운반하기 위해서 열교환기로 냉각제를 순환시켜야 하는 산업과 다르게 전용 파이프 하나로 운반해버립니다.
뭔가 좀 맘에 안들긴 한데
당연하겠지만 HU를 비롯한 타 모드 열과 호환은 안 됩니다.
Logistical Transporter
메카니즘의 아이템 물류를 담당하는 파이프입니다.
메카니즘은 독자적인 아이템 물류 시스템이 존재합니다.
그에 관해서는 나중에 따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Restrictive Transporter & Diversion Transporter
좌측이 Restrictive Transporter 이고, 우측이 Restrictive Transporter 입니다.
이 파이프들 역시 나중에 따로 다루겠습니다.
메카니즘에 존재하는 파이프들은 이것들이 전부입니다.
보시다시피 4개의 등급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처음에 Basic 등급을 쓰다가 나중에 업그레이드하여 더 좋은 파이프를 쓸 수 있죠.
근데 일일이 다 뜯어내기엔 재설치하기도 골치아프고 여러모로 귀찮지 않나요?
그런 여러분들을 위해 메카니즘은 특이한 기능을 지원합니다.
예를 들기 위해 파이프를 4×4로 설치하였습니다.
이 파이프를 간단하게 업그레이드 하려면?
이 Alloy들을 들고 파이프에 우클해주세요.
그러면..
짜잔! 파이프 8개가 다음 등급으로 업그레이드 되었습니다!
메카니즘 기본 조합법은 "파이프 8개 + 합금 = 다음티어 파이프" 이므로
굳이 귀찮게 뜯지 않아도 업그레이드를 편리하게 하게 하려고 넣은 기능입니다.
8편은 여기에서 마치겠습니다.
오타나 틀린 내용 지적은 언제나 감사히 받겠습니다.
이번것도 상당히 날로먹은듯하지만
'마인크래프트 모드 공략 > Mekan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이동식 저장장치 (4) | 2019.01.29 |
---|---|
6. 멀티블록 탱크!! (7) | 2019.01.26 |
5. Thermoelectric Boiler (0) | 2019.01.25 |
4. Industrial Turbine (7) | 2019.01.23 |
3. 단일 블럭 발전기 (4) | 2019.01.23 |
7. 이동식 저장장치
Mekanism
이 문서는 마인크래프트 1.12.2, Mekanism 1.12.2-9.4.13.349 환경에서 쓰여졌습니다.
조합법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니 인게임에서 확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7. 이동식 저장장치
이런거아님
써멀 포터블 탱크를 시작으로 엔더아이오 탱크나 오픈블럭 탱크, 심지어는 팅커스에도 탱크가 있습니다.
근데 빌크는
이 탱크들의 공통점이라면 블럭을 캐도 내용물이 없어지지 않고 유지된다는 것입니다.
메카니즘에도 탱크가 있습니다! 지금부터 알아봅시다.
Fluid Tank
메카니즘의 액체 탱크입니다. 보시다시피 5단계 등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왼쪽부터 Basic, Advanced, Elite, Ultimate 등급입니다. 맨 오른쪽은 Creative.
특이사항으로는...
탱크 자체로 버킷 기능을 하게 할 수 있습니다.
기본키는 Shift + M
여러분이 용암같은거 퍼올리는 노가다할때 이거 하나 있으면 정말 편하겠죠?
써멀의 Reservoir 기능이 기본탑재되어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우클하면 담고, 쉬프트 우클하면 설치합니다.
Gas Tank
메카니즘에서는 가스를 추가합니다. 그런 가스를 담아줄 용기입니다.
아쉽게도 멀티블록은 존재하지 않아 Rotary Condensentrator 를 이용해서 액체로 바꿔 저장해야 합니다.
등급은 위에서 설명했던거랑 동일하게 Basic, Advanced, Elite, Ultimate, Creative.
얘는 특이한 기능은 없고 그냥 가스만 담는 액체탱크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Bin
여러분들이 즐겨 쓰시는 배럴이나 스토레지 드로워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아이템 저장장치입니다.
한가지 아이템을 많이 담을 수 있어요.
역시나 등급은 위에서 설명했던거랑 동일하게 Basic, Advanced, Elite, Ultimate, Creative.
대충 이런식으로 담겨요.
좌클하면 한스택씩 빼고, Shift+좌클하면 한개씩 뺍니다. 우클하면 집어넣어요.
그리고 아주 중요한 기능이 하나 있는데...
곡괭이로 캐도 내용물이 보존되어 들고 이동할 수 있습니다.
7편은 여기에서 마치겠습니다.
오타와 틀린 내용 지적은 언제나 감사히 받겠습니다.
그리고 날로먹어서 좋았습니다. 하하!
'마인크래프트 모드 공략 > Mekan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파이프라인 (0) | 2019.02.11 |
---|---|
6. 멀티블록 탱크!! (7) | 2019.01.26 |
5. Thermoelectric Boiler (0) | 2019.01.25 |
4. Industrial Turbine (7) | 2019.01.23 |
3. 단일 블럭 발전기 (4) | 2019.01.23 |
6. 멀티블록 탱크!!
Mekanism
이 문서는 마인크래프트 1.12.2, Mekanism 1.12.2-9.4.13.349 환경에서 쓰여졌습니다.
조합법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니 인게임에서 확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6. 멀티블록 탱크!!
SM:RE 서버 인원 대부분은 멀티블록 탱크를 좋아합니다.
큰 탱크에 내부 액체가 담긴 것을 감상하는것을 즐기는 이들이 많습니다.
그런 여러분들을 위해 메카니즘의 멀티블록 탱크를 소개합니다!
Dynamic Tank
Dynamic Tank는 이 멀티블록 탱크의 이름이기도 하면서 이 블록의 이름이기도 합니다.
다른 멀티블록 기계와 마찬가지로, 골조는 이 블록으로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만들어줍시다.
최대 크기는 18×18×18입니다.
Structural Glass
지금까지 다른 멀티블록 기계에서 자주 보였던 이 유리는 사실 Dynamic Tank에서 가장 빛나는 블럭이 아닌가 합니다.
여러분들의 로망! 탱크 내부의 액체 구경!
그것을 가능하게 하려면 Structural Glass로 벽면을 만들어야겠죠??
여담이지만, 블럭 ID상으로 볼때, Structural Glass는 Dynamic Tank쪽 블럭인듯 합니다.
다른 멀티블록과 마찬가지로, 이런식으로 벽면을 채워줍니다.
Dynamic Valve
Dynamic Valve가 없으면 외부와 연결될 수 없으므로 멀티블록 탱크로써의 기능을 거의 잃겠죠.
수동으로 일일이 채우면되지 멀 끔찍한데??
남은 벽면에 설치해주면 완성!
이제 액체를 주입해볼까요?
짜잔! 여러분들이 좋아하는 멀티블록 액체탱크입니다!!
아 간만에 날로 먹었다
6편은 여기에서 마치겠습니다.
오타나 틀린 내용 지적은 언제나 감사히 받겠습니다.
'마인크래프트 모드 공략 > Mekan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파이프라인 (0) | 2019.02.11 |
---|---|
7. 이동식 저장장치 (4) | 2019.01.29 |
5. Thermoelectric Boiler (0) | 2019.01.25 |
4. Industrial Turbine (7) | 2019.01.23 |
3. 단일 블럭 발전기 (4) | 2019.01.23 |
5. Thermoelectric Boiler
Mekanism
이 문서는 마인크래프트 1.12.2, Mekanism 1.12.2-9.4.13.349, MekanismGenerators 1.12.2-9.4.13.349 환경에서 쓰여졌습니다.
조합법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니 인게임에서 확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발전량은 변경될 수 있으니 인게임 Config를 참조하십시오.
5. Thermoelectric Boiler
4편에서 우린 터빈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런데 뭔가 중요한게 빠진 것 같군요.
증기는 어디에서 얻죠?
그래서 여러분께 Thermoelectric Boiler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4편과 동일하게, 글을 보면서 따라오시면 됩니다.
Boiler Casing
보일러의 골조는 이것으로만 만들 수 있습니다. 터빈과 같아요.
보일러는 모양이 자유로운 편이에요.
보시다시피 아래가 직사각형이여도 됩니다. 터빈과의 차이점이죠.
최대 크기는 18×18×18 입니다.
Structural Glass
융합로를 제외한 메카니즘 멀티블록에 쓸 수 있는 유리입니다.
당연히 보일러에도 쓸 수 있죠.
유리가 잘 안보여서 설치했다는걸 보여주기 위해 구멍좀 뚫었습니다. 실제론 구멍뚫어놓으면 안됩니다!!
역시 벽면에 설치해주시면 됩니다.
유리 텍스처가 잘 이어지는게 건축자재로 써도 나쁘지 않을 것 같은데
가격이 문제지
Superheating Element
이름에서 예상하셨다시피 물을 끓이는 역할을 합니다.
많을수록 끓일 수 있는 물의 한계가 증가합니다.
이렇게 바닥에 쫙 깔아주시면 됩니다.
사실 바닥에 깔 필요도 없고 저렇게 한 면을 통째로 도배할 필요도 없어요.
"물 탱크" 에만 설치하면 됩니다.
그래서 이렇게 2겹으로 까는것도 가능함.
사실 저렇게 많을 필요 없이 하나만 설치해도 대요.
...근데 "물 탱크" 가 정확히 머에요?
Pressure Disperser
터빈에서 본 그녀석 맞습니다.
사실 아이템 코드로만 따지면 얜 보일러쪽 블록인듯 해요.
이녀석을 어디에 설치하느냐에 따라 "물 탱크" 와 "증기 탱크" 로 보일러 내부를 구분하게 됩니다.
이런식으로 Superheating Element와 천장 사이에 배치해주시면 됩니다.
정확히 중간에 설치할 필요 없이, 증기용량이 중요하냐 물 용량이 중요하냐를 본인이 알아서 판단하여 설치 위치를 결정해주세요.
당연히 아래가 물 탱크고 위가 증기 탱크입니다.
Boiler Valve
보일러에 설치하여 열과 물을 공급하고 증기를 배출하는 통로 역할을 합니다.
물 탱크 쪽에 설치하면 열과 물을 받고, 증기 탱크 쪽에 설치하면 증기를 방출합니다.
골조를 제외한 벽면에 알아서 설치해주시면 됩니다.
전 스샷도 찍어야하니까 옆면에 배치했습니다.
여러분들은 물 공급부분을 아래로 배치하여 보기싫은 물 공급장치를 땅속에 묻어서 깔끔하게 정리해보는건 어떨까요?
메카니즘 멀티블록은 나름 예쁜 편이니까요. 미관을 해치는건 좋지 않겠죠.
이로써 보일러의 완성입니다! GUI를 열어볼까요??
1번은 보일러의 상세정보를 볼 수 있는 탭을 열 수 있습니다.
2번은 물탱크, 3번은 증기탱크입니다.
물탱크 옆에 있는 게이지는 Boil Rate. 증기탱크 옆에 있는 게이지는 Max Boil 입니다.
둘다 가운데 스크린에 써있죠? 그래서 딱히 언급하진 않았습니다.
현재는 가동을 안하지만, 가동하는 보일러의 스크린은 대충 이런식으로 작동합니다.
뭔가 온도가 미친것같지만 넘어갑시다
보일러 상세정보 탭도 살펴봅시다.
스샷 번호지정이 잘못된거같은데 귀찮아서 수정안했음 언젠간 하겠지
빨간 1번은 기계 기본 GUI로 돌아가는 탭입니다.
파란 1번은 탱크 용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초록 2번은 틱당 증기 생산가능량을 보여줍니다.
보시다시피 미친 가열 용량을 자랑합니다.
Superheating Element 1개당 100000mB/t 이라는 수치를 보여주는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실 이것때문에 Superheating Element를 1개만 설치해도 되는데...
왜냐면 여러분이 메카니즘을 기본 Config로 플레이하신다면 100000mB/t을 뽑는게 굉장히 힘들거든요.
밑에는 각 수치에 대한 변동량을 보여주는 그래프가 잇음니다. 별로 필요는 없는 듯
작동하면 대충 이런식임
이로써 보일러 강좌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짝짝!
...이라고 하고 끝내기엔 뭔가 잊은 게 있지 않나요?
우리가 만든 기계는 뭔가요?
보일러의 역할은 뭐죠?
그럼 물은 어떻게 끓여요?
지금까지 글을 자세히 읽으셨다면...
Boiler Valve 부분에서 보신 게 있을 겁니다.
그렇습니다.. 이 기계는 다른 모드랑 다르게 외부 열원에서 열을 공급해주어야 하는 기계였던 것입니다.
... 그럼 열을 어떻게 공급하는데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Fuelwood Heater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타는 물질을 넣으면 열을 생산합니다.
하지만 출력이 그닥 강하진 않아요.
그래서 Superheating Element가 많지 않아도 된다고 한것.
이렇게 좌우로 Thermodynamic Conductor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사실 모든 면에 다 붙일 수 있긴 한데...
GUI는 별거 없습니다.
진짜 심플하죠? 1번에 연료 넣으면 됩니다.
다른 히터는 없냐구요? 있습니다. 소개해드리죠.
Resistive Heater
얘는 전기를 먹고 작동합니다.
... 뭐요????
전기를 생산할려고 만든 보일러인데 전기를 먹고 열을 만들면 무슨 의미인가?
사실 얘는 보일러에 쓸 일은 많지 않습니다.
열이 필요한 다른 기계에 쓰는게 일반적이죠.
물론 다른 모드의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RF를 먹여서 증기를 뽑는다면 좋은 수단이겠습니다만...
좀더 비싼놈이라고 GUI는 조금 더 복잡합니다.
별거없네
하지만 Resistive Heater의 가장 큰 장점은 출력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소모할 전력을 1번 칸에 입력하고 오른쪽의 체크 표시를 누르면 Usage 부분의 에너지 수치가 입력한 숫자만큼 변하면서
그만큼 소모 전력과 내부 에너지 저장량 뭐요? 이 증가합니다.
그리고 이녀석은 Fuelwood Heater보다 고급인 몸이라, 먹고 뱉는곳이 정해져있습니다.
기계 측면에 보이는 초록색 네모가 있는 면으로만 전기를 받고 열을 뱉습니다.
저거 반대편에 하나 더 있음.
이제 히터까지 알아봤으니 보일러를 가동해볼까요?
보시다시피 내부에 액체가 차는게 눈에 보입니다!
그리고 다른 기능이 있는데...
얘 스스로 빛남. ㅋㅋ
5편은 여기에서 마치겠습니다.
오타나 틀린 내용 지적은 언제나 감사히 받겠습니다.
'마인크래프트 모드 공략 > Mekan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이동식 저장장치 (4) | 2019.01.29 |
---|---|
6. 멀티블록 탱크!! (7) | 2019.01.26 |
4. Industrial Turbine (7) | 2019.01.23 |
3. 단일 블럭 발전기 (4) | 2019.01.23 |
2. 메카니즘 GUI의 사이드 탭 (0) | 2019.01.23 |
4. Industrial Turbine
Mekanism
이 문서는 마인크래프트 1.12.2, Mekanism 1.12.2-9.4.13.349, MekanismGenerators 1.12.2-9.4.13.349 환경에서 쓰여졌습니다.
조합법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니 인게임에서 확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발전량은 변경될 수 있으니 인게임 Config를 참조하십시오.
4. Industrial Turbine
저번 편에는 단일 블럭 발전기들을 소개했었죠. 이번엔 멀티블록 발전기입니다.
바로, Industrial Turbine 입니다!
효율이 좋은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빙글빙글 돌아가는게 예쁩니다.
그럼 한번 만들어볼까요?
필요한 재료를 알아보면서 하나씩 해봅시다.
※주의사항※
이 글과 맨 밑의 조건까지 다 읽고 만드시는것을 추천합니다.
Turbine Casing
터빈의 골조는 이 블럭으로만 만들 수 있습니다.
바로 이렇게요.
저 골조 부분에는 Turbine Casing 이외의 다른 블럭이 배치되어서는 안됩니다.
Structural Glass
메카니즘 멀티블록 내부를 보고 싶을 수도 있죠. 특히나 터빈같이 돌아가는 기믹이 있는 멀티블록이면 더더욱이요.
융합로를 제외한 모든 메카니즘 멀티블록 기계는 Structural Glass 를 벽면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측면과 아래 위 모두 설치 가능합니다. 내부와 골조에만 설치 안하면 됩니다.
당연하게도, Turbine Casing을 Structural Glass를 대신해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뽀대는 줄어들겠지만요
Turbine Rotor
터빈의 회전축을 담당합니다. 바닥에서부터 Rotational Complex까지 이어져야 합니다.
이런식으로 설치해주시면 됩니다.
Turbine Blade
그냥 설치할 수는 없고, Turbine Rotor에 우클릭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Turbine Rotor 1개당 2개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면 이렇게 됩니다.
당연하게도, Turbine Blade가 벽면에 닿으면 돌아가지 않겠죠?
높이 조절을 적절히 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Rotational Complex
Turbine Rotor 위에 설치하면 됩니다.
이 블럭이 설치된 순간, 다음부터 소개할 블럭들의 설치 위치가 정해집니다.
이 블럭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이죠.
Pressure Disperser
설정상 여기로 증기가 빠져나가는 것 같습니다.
Rotational Complex 주위를 빙 둘러주면 됩니다.
Electromagnetic Coil
터빈에 꼭 필요한 발전용 전자석이죠.
Rotational Complex 바로 위층에 깔아주시면 됩니다.
2겹으로 쌓는다고 크게 달라지는건 없습니다만, 무조건 Rotational Complex와 직접 접촉하게 배치되어야 합니다.
만약 이런식으로 배치하면, 가운데 코일 한개만 발전에 쓰이고 나머지는 놀게 되니 주의하세요.
효율떨어지는데 누가 다 안채우겠냐만은.. 가난할수도있지
Saturating Condenser
발전에 쓰인 증기를 응축해서 다시 물로 만들어줍니다.
필수가 아니므로 없어도 됩니다.
Electromagnetic Coil 바로 위층에 깔아주시면 됩니다.
설명만 읽어보면 Rotational Complex 바로 위층에 깔아도 되는 것 같긴 하지만, 그러면 발전을 못하니까..
Turbine Vent
터빈에서 처리할 수 있는 증기 유입/배출량을 결정합니다.
많으면 좋으니까 남는 벽면에 도배하시면 되겠습니다.
Rotational Complex와 같은 층, 혹은 그 위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대충 이런식으로요.
Turbine Rotor가 있는 층에는 설치되면 안됩니다.
시야를 방해하니까증기가 바로 새어나가면 안되니까 그런 것 같습니다.
이렇게 하시면 여기서 터빈이 완성됩니다!
...가 아니라
Turbine Valve
뭔가 빠진 것 같지 않나요?
증기는 어디로 넣죠? 전기는 어디로 뺄 수 있나요?
Turbine Valve를 설치하는것을 잊은 모양이군요! 빨리 설치해줍시다.
Turbine Vent 몇개 떼고 옆에다가 박아줍시다.
얜 특별한 제한조건은 없어서 벽면 어디에 놔도 됩니다. 위에 놔도 되고 아래에 놔도 되고..
미관을 해치겠지만Turbine Rotor와 같은 층에 설치되어도 됩니다.
여기까지 따라오셨다면.. 축하드립니다! 여러분의 터빈은 이제 가동될 수 있습니다!
그럼 어서 증기를 주고 전기를 얻어볼까요?
Valve를 통해 증기를 주입하고 전기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만약 여러분이 Saturating Condenser를 터빈 내부에 집어넣었다면 Turbine Vent와 연결하여 물도 빼낼 수 있습니다.
그럼 터빈의 GUI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건 기존에 완성된 다른 터빈임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1. 터빈의 스펙을 보여주는 GUI를 엽니다.
2. 현재 터빈에 저장된 증기 양을 보여줍니다. 많이 차면 실제로 터빈 내부가 뿌옇게 변합니다.
3. 현재 유입되는 증기의 양을 보여줍니다.
4. 터빈에 저장된 에너지의 양을 보여줍니다.
5. 증기가 꽉 찼을 때 어떻게 할지 설정합니다. 안받음 / 90% 저장하고 나머진 버림 / 모든 증기를 버림
※모든 증기를 버리게 설정하면 내부 인벤토리까지 전부 비우고 받는 족족 버리니 주의※
터빈의 스펙을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1. 터빈 기본 GUI로 돌아갑니다.
2. 터빈에 쓰인 부속품의 양을 알려줍니다. Limiting은 Steam Flow와 Production에서 어떤 부품이 최대 출력량을 결정하고 있는지(부족한지) 표시하는 것입니다.
3. 이론상 최대 생산량입니다. 사실상 여러분들은 이게 제일 중요하겠죠.
4. Saturating Condenser가 존재할때 물을 얼마나 반환할 수 있는지 알려줍니다.
Limiting에 너무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어떻게 만들던 저건 떠있을테니까요.
[ 터빈 만들 때의 조건 ]
1. 수직으로만 만들 수 있습니다. Turbine Rotor가 수평으로 설치가 안 되기 때문이죠.
2. Rotational Complex는 Turbine Rotor 위에 배치되어야 합니다. 아래에 배치하면 안됩니다.
3. 수직으로 너무 길쭉하게 만들면 Turbine Blade가 벽면에 닿게 되는데, 그러면 터빈이 완성되지 않습니다.
주의사항까지 보셨다면 이제 터빈을 만드실 차례입니다!
융합로 전까지 가장 강력한 발전기입니다.
크게만들면 융합로보다 발전량이 많긴 한데
4편은 여기에서 마치겠습니다.
오타 및 틀린 내용 지적은 언제나 감사히 받겠습니다.
'마인크래프트 모드 공략 > Mekan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멀티블록 탱크!! (7) | 2019.01.26 |
---|---|
5. Thermoelectric Boiler (0) | 2019.01.25 |
3. 단일 블럭 발전기 (4) | 2019.01.23 |
2. 메카니즘 GUI의 사이드 탭 (0) | 2019.01.23 |
1. 메카니즘의 기본 기계들 (4) | 2019.01.21 |
3. 단일 블럭 발전기
Mekanism
이 문서는 마인크래프트 1.12.2, Mekanism 1.12.2-9.4.13.349, MekanismGenerators 1.12.2-9.4.13.349 환경에서 쓰여졌습니다.
조합법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니 인게임에서 확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발전량은 변경될 수 있으니 인게임 Config를 참조하십시오.
3. 단일 블럭 발전기
다른 기계들을 소개하기 전에 발전기를 소개해도 되는가?? 싶었지만
라고 하셔서. 3편에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Heat Generator
좌측은 미가동 상태, 우측은 가동 상태 입니다.
아주 기본적인 발전기로, 1번 칸에 용암 버킷이나 각종 탈 물질들을 넣으면 용암으로 변환되어 내부 탱크에 쌓입니다.
2번 탭에 마우스 커서를 가져다 대면 현재 열값을 C / F / K / R / STP 5단위로 변환하여 보여줍니다. 사실 저거 본다고 달라지는거 없어서 안 보겠지만
3번 탭에 마우스 커서를 가져다 대면, 현재 발전량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열 발전기라는 이름 그대로..
용암속에 풍덩 담궈놓거나
옆에 히터를 두어도 발전합니다. 물론 히터에 연료 넣어서 발전시키는것보다 직접 발전기에 쳐넣는게 더 낫겠지만
근데 불은 옆에 있어도 발전을 안합니다. 왜???
Gas-Burning Generator
구별은 안되지만 어쨋든 우측은 발전중입니다.
수소 먹고 전기 뱉어요. 간단하죠?
1번 슬롯에 수소가 담긴 가스 탱크를 놓으면 수소를 공급할 수 있습니다. 외부에서 주어도 되구요.
밑에 Burn Rate 를 통해 틱당 얼마나 소모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소소한 팁으로, 기본 Config에서는 Electronic Saparator의 전력 소모율과 Gas-Burning Generator의 전력 생산률이 같으므로
전기 없이 산소를 생산하는 시스템을 만들 수 있습니다. 창조경제
Bio-Generator
좌측은 아무것도 안 넣은 모습이고 우측은 연료가 꽉 찬 상태입니다. 물론 발전중이고요.
이 발전기는 발전 상태가 아니라 내부 연료량에 따라서 외형이 변합니다.
왼쪽에 바이오 연료 넣으면 발전하고, 가운데에는 발전 현황을 알려주는 패널이 있네요. 친절하기도 해라.
바이오 연료를 넣으면 왼쪽 게이지가 차오릅니다. 바이오 연료 1개당 200만큼 채워줘요. 최대수치는 보시다시피 24000 + 64개
근데 저 Out이 700J이라고 쓰여져 있어서 다들 낚이시는데, 저게 발전량이 아닙니다. 최대 출력량이지.
실제 발전량은 왼쪽 밑의 전력 탭에 커서를 대면 보입니다. 딱 절반수치인 350J만큼 발전해요. 물론 발전량은 Config에 따라 바뀔 수 있습니다.
2배로 구라를 쳐???
아참, 바이오 연료는...
Crusher에서 식물성 재료 갈갈하면 나옵니다.
Wind Generator
얘는 발전중일때와 아닐때를 사진으로는 구별할 수 없습니다... 발전중이면 돌고 아니면 안돌고
많이발전중이면 많이돌아요. 당연한거겠지만
왼쪽 초록색부분은 발전가능하다는것을 알려줍니다. 발전 안하는 y가 없어서 발전 안되는 GUI는 못찍어왔네요.
가운데엔 역시 Info가 있습니다. 바람 세기를 알려주네요. 정확한 생산량은 왼쪽 아래의 탭에 커서를 가져다대서 측정하도록 합시다.
몇몇 분들이 저 가운데 부분의 수치를 보고 생산량을 계산하시던데...
그러면 어느 y에서나 출력이 동일한걸로 보일 겁니다. ㅋㅋ
저기 써있는 수치는 최대 출력량(쌓여있는 전기를 방출할때의 출력량)이거든요.
발전량은 y에 따라 달라집니다. 헷갈리지 말자구요!
Solar Generator
태양광 발전기입니다. 작동할때나 안할때나 외형 차이 없어요. 그래서 하나만 뒀음.
1번은 현재 해가 떠있는지 안 떠있는지(발전유무) 보여줍니다.
물론 가운데 패널에도 태양 유무를 보여주고 있죠.
얘도 정확한 출력 보고싶으면 왼쪽 밑의 전력 탭에 커서 가져다 댑시다.
밤되면 이렇게 변함
Advanced Solar Generator
좀더 커진 버전입니다.
GUI는 이름바뀐거 제외하고 작은거랑 같습니다.
3편은 여기에서 마치겠습니다.
오타나 틀린 내용 지적은 언제나 감사히 받겠습니다.
제목이 4편 내용을 스포하고있다
'마인크래프트 모드 공략 > Mekan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멀티블록 탱크!! (7) | 2019.01.26 |
---|---|
5. Thermoelectric Boiler (0) | 2019.01.25 |
4. Industrial Turbine (7) | 2019.01.23 |
2. 메카니즘 GUI의 사이드 탭 (0) | 2019.01.23 |
1. 메카니즘의 기본 기계들 (4) | 2019.01.21 |
2. 메카니즘 GUI의 사이드 탭
Mekanism
이 문서는 마인크래프트 1.12.2, Mekanism 1.12.2-9.4.13.349 환경에서 쓰여졌습니다.
조합법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니 인게임에서 확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2. 메카니즘 GUI의 사이드 탭
메카니즘 기계들은 옆동네 써멀보다 더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기능도 써야 발휘되는 법. 사이드 탭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1. Side Config - 자세한 내용은 후술합니다.
2. Transporter Config - 자세한 내용은 후술합니다.
3. Upgrades - 자세한 내용은 후술합니다.
4. Security & Owner - 접근 권한을 설정합니다. 전체 / 일부 / 주인 의 3가지로 분류됩니다. 접근 권한에 대한 것은 Security Desk 편을 참고하십시오.
5. Energy - 저장된 에너지를 J / RF / EU / T 단위로 변환해 보여줍니다. 눈치채셨겠지만, 저 4가지 전력 모두를 메카니즘 기계에 공급할 수 있습니다.
6. Redstone Signal - 레드스톤 신호에 따른 작동 설정을 합니다. 무시 / 신호 없을때 작동 / 신호 있을때 작동 3가지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Side Config
이것은 Quantum Entangloporter 의 Side Config GUI입니다. 가장 많은 정보를 표현 가능해서 중간에 넣었습니다.
1. 기계 기본 GUI로 돌아갑니다.
2. 자동 배출을 On/Off 합니다. On 되면 설정한 배출면으로 아이템을 자동 방출합니다.
3. 전기 입출력을 설정합니다.
4. 액체 입출력을 설정합니다.
5. 열 입출력을 설정합니다.
6. 가스 입출력을 설정합니다.
해당 GUI의 색 설정은 괜히 있는것이 아닙니다. 지금은 다른 기계의 GUI를 가져와서 잘 모르시겠지만...
슬롯 테두리와 SIde Config 설정 칸의 색은 서로 대응된다는걸 보실 수 있습니다.
메카니즘 기계에서 색은
빨간색 - 입력
파란색 - 출력
초록색 - 전력
노란색 - 업그레이드
보라색 - 주입물 입력
회색 - 비활성화
에 대응합니다.
Transporter Config
1. 기계 기본 GUI로 돌아갑니다.
2. Strict Input을 활성화합니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합니다.
3. 출력물에 씌워질 필터의 색을 지정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합니다.
Strict Input이란, 색이 지정된 면에 연결된 파이프에 맞는 색으로 필터된 아이템이 오면 받고, 아니면 받지 않는 옵션입니다.
예를 들자면,
우측에 파이프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우측 면은 Cyan 색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때, 이 파이프로 Orange 색 필터가 씌워진 아이템이 접근하면 받지 않습니다.
Cyan 색 필터가 씌워진 아이템이 접근하면 받습니다.
대충 이런 시스템입니다. 자세한 것은 메카니즘 아이템 분류 시스템 편에서 다룹니다.
여러분들을 위해 예시사진 하나를 더 첨부해드립니다.
필터가 씌워진 아이템이 이동하는 모습입니다. 필터된 색은 Cyan 색. 잘안보이겠지만요
Upgrades
1. 기계 기본 GUI로 돌아갑니다.
2. 업그레이드 부품을 투입하는 칸입니다.
3. 이 기계가 어떤 업그레이드를 지원하는지 순서대로 보여줍니다.
그러면 이제 업그레이드를 집어넣어 보겠습니다.
1. 현재 삽입된 업그레이드 종류를 보여줍니다. 클릭하면 선택됩니다.
2. 선택된 업그레이드가 해당 기계에 얼마나 들어가있는지, 얼마나 넣을 수 있는지, 효과 배율은 얼마인지 보여줍니다.
3. 선택된 업그레이드 1개를 인벤토리로 반환합니다.
2편은 여기에서 마치겠습니다.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타나 틀린 내용 제보는 언제나 감사히 받겠습니다.
'마인크래프트 모드 공략 > Mekan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멀티블록 탱크!! (7) | 2019.01.26 |
---|---|
5. Thermoelectric Boiler (0) | 2019.01.25 |
4. Industrial Turbine (7) | 2019.01.23 |
3. 단일 블럭 발전기 (4) | 2019.01.23 |
1. 메카니즘의 기본 기계들 (4) | 2019.01.21 |
1. 메카니즘의 기본 기계들
Mekanism
이 문서는 마인크래프트 1.12.2, Mekanism 1.12.2-9.4.13.349 환경에서 쓰여졌습니다.
조합법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니 인게임에서 확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1. 메카니즘의 기본 기계들
메카니즘을 시작하기 위한 기본 기계들입니다.
여기서 소개하는 기계들은 최우선적으로 업그레이드 하실 것을 권장합니다.
가장 많이 쓰일 것이기 때문이죠.
Enrichment Chamber
좌측은 아무것도 안 하고 있는 모습이고, 우측은 일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사진상으로 잘 보이진 않지만 황색의 무언가가 움직이긴 합니다.
1. 작업할 아이템을 넣는 곳입니다.
2. 작업된 아이템이 나오는 곳입니다.
3. 레드스톤 혹은 전력 공급 아이템을 넣어서 전력을 공급하는 곳입니다. 전선 연결시 필요 없습니다.
이 기계는 무슨 일을 할 수 있을까요?
광물을 넣어 2배 정제를 할 수 있습니다.
가루가 된 보석을 원래 상태로 돌려 놓을 수 있습니다.
레드스톤, 다이아몬드, 리파인드 옵시디언, 석탄, 목탄을 압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소하지만 AE의 석영 씨앗도 성장시킬 수 있습니다.
Metallurgic Infuser
좌측은 노가리까고있는 모습이고, 우측은 노가다하고있는 모습입니다.
이 기계는 작동할때 외형 변화가 업습니다...
1. 주입 아이템을 넣는 곳입니다. 넣은 만큼 왼쪽의 게이지가 차오릅니다. 기본 수용량은 960입니다.
2. 작업할 아이템을 넣는 곳입니다.
3. 작업된 아이템이 나오는 곳입니다.
4. 레드스톤이나 전력 공급 아이템을 이용해 전력을 공급하는 곳입니다. 전선 연결시 필요 없습니다.
5. 게이지에 쌓인 잔여물을 없애는 버튼입니다.
1번에 들어갈 수 있는 아이템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게이지를 10 만큼 올려줍니다.
2. 게이지를 20 만큼 올려줍니다.
3. 게이지를 80 만큼 올려줍니다.
이 외에도, 주석 가루는 50만큼 올려줍니다. Compressed 버전은 없습니다.
보시다시피, 레드스톤을 바로 넣으면 10만큼만 게이지를 채워주지만,
위에서 언급한 기계인 Enrichment Chamber에서 Compressed Redstone 을 만들면 80만큼 채워줍니다.
효율이 8배나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죠.
꼭 Compressed 버전으로 만들어서 넣도록 합시다!
이 기계로 할 수 있는 일들을 알아봅시다.
주입해서 회로와 합금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합금에 새로운 재료를 주입하여 업그레이드 할 수 있습니다.
구리에 주석을 주입하여 청동을 만들 수 있습니다.
Energized Smelter
좌측은 농땡이 피우고 있는 모습이고, 우측은 열심히 일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1. 작업할 아이템을 넣는 곳입니다.
2. 작업된 아이템이 나오는 곳입니다.
3. 전기 주는 곳입니다. 쉬프트 클릭하다가 실수로 레드스톤을 넣어 증발시키지 않도록 합시다.
설명할게 없는 기계입니다. 딱히 다른것도 없고요..
그냥 평범한 전기 화로입니다. 다른 모드랑 비슷하죠.
1편은 여기에서 마치겠습니다.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타나 틀린 내용 지적은 언제나 감사히 받겠습니다.
'마인크래프트 모드 공략 > Mekan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멀티블록 탱크!! (7) | 2019.01.26 |
---|---|
5. Thermoelectric Boiler (0) | 2019.01.25 |
4. Industrial Turbine (7) | 2019.01.23 |
3. 단일 블럭 발전기 (4) | 2019.01.23 |
2. 메카니즘 GUI의 사이드 탭 (0) | 2019.01.23 |